1. Introduction and Server Virtualization
2. Server Virtualization for Technical Sales Professionals
2.1 vSphere : 소프트웨어 정의 엔터프라이즈 기반
- vSphere 6.5는 다음의 당면과제를 해결 : 갈수록 복잡해지는 환경, 늘어나는 IT 보안 위협, 기존 및 신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모두 지원
- vSphere 6.5 및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 6.5의 기능
- 간편한 고객 환경 : 간소화된 구조, 현대적인 API(REST), 현대적인 인터페이스(HTML5)
- 포괄적인 기본제공 보안 기능 : 데이터 보호, 인프라 보호, 엑세스 보호
- 범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: 모든 애플리케이션, 디바이스 (VMware 핵심기술)
- 사전 예방적 데이터 센터 관리 : 에측 DRS, 사전 예방적 HA, vSphere 및 vRealize Operation 통합.
- vSphere 환경의 기본 구성요소 : VCSA (vCenter Server Appliance)
- 손쉬운 배포 및 관리 접근 방식
- 핵심기능을 단일 위치에 내장->운영복잡성 감소
- 중앙집중화 -> 규모 및 성능 향상
- REST API
- 기본 제공 보안 기능
- 데이터보호 : 가상머신 암호화, 암호화된 vMotion
- 인프라보호 : 이미지가 조작되지 않도록 하고 보안 부팅 모델 추가.
- 안전한 엑세서 : 향상된 다단계인증
- 범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
-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지원
- 사내 또는 클라우드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
- 데스크톱 가상화
- 사전 예방적 데이터 센터 관리
- 머신러닝, 예측 분석
- 사전예방적 DRS :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경 사항 에상(vRealize Operations의 기능 활용)
- 사전예방적 HA : 하드웨어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예상, 성능이 저하된 호스트 차단 또는 vMotions 애플리케이션 격리
2.2 vSphere 6.5로 업그레이드 - 영업 참고 자료
- VOA (vSphere Optimization Assesment) : VMware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 가치를 입증, VMware vRealize Operations를 향상된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범사례 판매촉진툴. "개념검증(POC)"의 요약버전. "소개 및 판매" 영업 전략 툴
- VOA 보고서는VOA 프로그램의 주요 결과물이다.
- VOA 프로세스의 단계
- 고객 접촉 및 검증 : 고객의 요구사항 검증, 평가의 가치 설명, 필요한 시간 및 투자 파악. 대상과 시기 판단. 설치 날짜 및 시간 조정
- 설치 : 60일 라이센스키를 활용하여 vRealize Operations Advaced를 설치. 설정을 상용자에 맞게 수정하고 3~30일간의 평가(VOA Flex를 수행하여 고객의 데이터센터(DC)에 가장 적합한 성과 도출. 영업 전문가가 평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수집
- 시연 : 평가기간동안 2~3차례 툴을 시연하고 보고서 생성. 제공된 템플릿으로 최종 보고서 작성 후 영업 전략 결정. 고객과 데이터 검토
- 판매 : 고객에게 적합한 솔루션을 포지셔닝하고 상향판매. 견적 제시 및 평가판을 완전한 라이센스판매로 전환.
- VOA 는 30일 기준이지만 VOA Flex는 3~30일간의 평가기간 조정가능. 복잡도와 역동성이 높을수록 긴 기간 필요
- 권장되는 VOA 일정
- VOA 보고서
- 구성보고서 : 1일차에 바로 보고서 생성. 호스트/클러스터/가상머신/라이센싱 정보 등 포함 ex) 설치된 RAM 및 CPU 수, HA 및 DRS 구성
- 성능보고서 : 2~7일간 수집된 매트릭스를 평가하여 성능이 저조하거나 성능에 문제가 있는 가상머신 및 클러스트 목록을 다룸.
- 용량 : 3~30일간 수집된 매트릭스를 평가하여 과도하게 프로비저닝 된 부분에 대한 정보 포함. 과도하게 활용된 워크로드 정보 표시.
- 최종 - 통합 용량 보고서 : 모든 정보 용량부터 역순으로 표시.
- 서비스 판매
- VMware Technology Consulting Services : 컨설팅 서비스. 운영 효율 개선. SDDC 확장 및 지원
- TAMS(VMware Technical Account Managers) : VMware 기술 영업 담당자. VMware 투자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.
- VMware Education Services : 기술과 지식을 제공하는 자격증 교육 제공.
3. Data Center Virtualization Fundamentals
3.1 VMware vSphere를 통한 데이터센터 가상화 소개
- VMware의 통합 아키텍처 비전
- 고객의 전략적 우선순위 : 비즈니스 대응력 및 혁신 + 탁월한 모바일 환경 + 고객의 평판 및 신뢰도 보호
- 이에 따른 VMware의 제공 : 데이터센터 현대화, 퍼블릭 클라우드 통합,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강화, 보안 혁신
- VMware Cross-Cloud Architecture : ?? 뭘까
- 가상화 개요
- 물리적 구성요소의 가상 버전을 만듬(서버,네트워크,스토리지)
- 효율성과 대응력 강화
- 단일 서버에서 여러 운영체제외 애플리케이션 실행, 하드웨어 통합으로 생산성 향상
- 서버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, 스토리지 가상화, 애플리케이션 가상화, 데스크톱 가상화
- 각 가상화에 대한 개요
- 서버 가상화 :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운영체제를 가상머신으로 실행. 각 가상머신은 기본서버의 리소스에 접근 가능. 동일한 호스트의 다른 가상머신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나의 가상머신이 고장나도 다른 가상머신 영향x
- 네트워크 가상화 : 물리적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로 재현
- 스토리지 가상화 : 물리적 스토리지 리소스의 추상화 계층 제공
-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: 애플리케이션 모빌리티를 높이고 최소한의 다운타임으로 환경의 모든 서버로 마이그레이션 가능
- 데스크톱 가상화 : 가상화된 데스크톱 및 애플리케이션은 비용을 줄이고 서비스를 향상함.
- 데이터센터 가상화
- 데이터센터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소프트웨어로 변환.
- 물리적 서버, 네트워킹, 스토리지 등 물리적 디바이스는 고비용 및 하드웨어 장애의 위험 -> 가상화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.
- 하나의 하이퍼바이저에 여러개의 가상머신이 배치됨. 각 가상머신은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동일한 하드웨어에 접근 가능.
- 데이터센터 가상화의 이점
- 자본 비용 및 운영비용 절감 : 기존 하드웨어 최대한 활용, 서버수를 줄이면서 운영비용 감소
- 애플리케이션 고가용성 제공 : 가용성 및 무장애 -> 서버 장애시 모든 가상머신 자동 재시작 또는 다른 머신에서 계속 실행 -> 다운타임이나 데이터 손실x
- 비즈니스 연속성 향상 : 장애 발생시 다른 서버로 가상머신 이동 가능
- 생산성 향상 : 관리 작업의 간소화 및 자동화.
- 대응력 향상: 빠른 구축으로 비즈니스 신속 확장
- 가상머신
- 물리적 컴퓨터처럼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컴퓨터.
- 가상머신이 탑재된 물리적 서버의 하드웨어를 공유 -> 구성요소 교체 쉬움 & 재부팅 필요x
- 하이퍼바이저가 필요에따라 가상머신에 컴퓨터 리소스 할당
- 쉽게 이동, 복사, 복원(스냅샷)가능 *스냅샷 : 가상머신의 상태를 캡쳐. 복원하는데 사용 가능
- 베어메탈 백업 : 가상머신이 실행되는 동안 백업
- 핫 애드 : 가상머신 재시작 없이 기능 향상 (but 리소스 줄이려먼 전원꺼야함)
- 가상머신 사용의 이점
- 각 호스트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 실행
- 최대 호스트 활용률, 최소 호스트 수
- 애플리케이션 및 리소스를 더 신속하고 간편하게 프로비저닝
- 하이퍼바이저
- 가상머신을 만들 수 있는 물리적 리소스와 가상 하드웨어 제공
- vCenter Server로 관리되어 서버에 설치됨.
-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 : 운영체제 없이 물리적 디바이스에 설치됨. 운영체제의 기능 수행, 리소스 관리, 리소스 오버헤드 감소 ex) vSphere
- 호스팅 하이퍼바이저 : 기존 운영체제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작동. ex)VMware Workstation Pro
- vSphere ESXi Hypervisor :....................? vSphere와 다른건가...? vSphere의 Hypervisor 부분을 얘기하는건가??
-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
- 운영체제 오버헤드 낮아 리소스 효율 높음
- 가상머신 관리기능 제공 : 새 가상머신 생성, 구성 조정, 성능모니터링. 운영체제 원격제어
- 하드드라이브에 설치되나 플래시드라이브. SD카드 등에도 설치가능
- 네트워크 부팅 가능
- vSphere 6.5
- 간편한 고객환경 : REST기반 현대식 API, HTML5기반 현대식 인터페이스, 간소화된 아키텍쳐
- 포괄적인 내장 보안 기능 : 정책중심모델을 통한 데이터, 인프라, 엑세스 보호
- 범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: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모두 지원, 모든 디바이스 지원
- 사전 예방적 데이터 센터 관리 : 예측 분석 및 스마트 알림(DRS), 사전 예방적 HA, 운영 관리
- vSphere 6.5의 이점
- 애플리케이션, 클라우드 및 비즈니스를 위한 이상적인 플랫폼
- VMware 클라우드 전략을 위한 기초적인 요소
-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제공되며,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한 서비스로도 제공됨
- 공통 운영환경에서 클라우드 및 디바이스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, 관리, 연결, 보호
- 대규모 자동화 -> 간편한 고객환경, 포괄적인 내장 보안, 범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
- vSphere 6.5 에디션
- vSphere 6.5는 2017기준 두가지 에디션이 있음 : Standard, Enterprise Plus
-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는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 Plus에서 제공됨.
3.2 VMware vSphere의 구성 요소
- vSphere 6.5의 구성요소 계층
- vCenter Server : vSphere 데이터 센터를 위한 단일 제어 지점을 제공, 엑세스 제어, 성능 모니터링 등 데이터 센터 서비스 제공
- 인프라 서비스 : 리소스를 추상화 통합 할당. 컴퓨팅, 스토리지, 네트워크로 구성
-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: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, 보안, 확장성을 보장 ex)vMotion
- 클라이언트 : 사용자가 vSphere 데이터 센터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함
- vSphere 6.5 아키텍처
- 인프라 서비스 : 리소스를 추상화, 통합, 할당
-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: 인프라의 복원력 개선
- 관리계층 : 가상화된 IT 환경을 중앙집중적으로 관리, vCenter Server, vRealize Operation
- 인터페이스계층 : 사용자가 vSphere 데이터센터에 엑세스 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ex) vSphere Web Client
- vSphere 6.5 데이터센터의 토폴로지
- 컴퓨팅 : 클러스터는 최대 64개의 호스트로 확장 가능. 단일 클러스터에서 8000대의 가상머신 지원. 특별한 하드웨어 지원
- 스토리지 : FC SAN, iSCSI, NAS, vSAN 등의 스토리지 기술을 사용. SPBM을 통해 스토리지 관리.
- 네트워크 : 시스템 또는 물리적 네트워크 사이에 가상화된 네트워크 만들 수 있음. 물리적 네트워크에 NFS, iSCSI, vMotion 등의 VMkernel 서비스를 연결 가능
- 가용성 : 더 높은 가용성. 다운타임 감소, 자동 복구 기능, vSphere HA, vSphere Fault Tolerance, vSphere Replication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다운타임 감소 및 신속한 복구
- 관리 : 사용자는 가상환경을 만들고 구성 및 관리 할 수 있음. REST 기반 API 도입
- vSphere 6.5 최대값
- vCenter Server
- 가상 인프라에 중앙 집중식 관리 제공-> 보안,가용성 보장, 작업 간소화
- 원클릭 패치 적용, 백업 및 복구, 고가용성 등
- vCenter Server의 기능
- 클러스터 : 호스트의 전체 기능에 엑세스 및 관리. HA 및 DRS 기능 지원
- 경보 및 알림 : 특정 조건에서 활성화 되는 알림.
- 모니터링 : 가상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잠재적 문제의 원인 파악. 성능차트, 스토리지 보고서, 시스템 로그 파일 제공.
- 템플릿 관리 : 중앙집중식 관리로 가상머신 템플릿 관리 및 배포 간소화.
- 향상된 Linked Mode 배포 : Platform Services Controller를 사용해서 여러 vCenter Server 시스템을 하나로 연결. 연결된 모든 vCenter Server 시스템을 확인, 검색, 권한, 라이센스, 정책, 태그를 복제 가능.
- 인증서 관리 : 솔루션 사용자와 연결된 서비스에서 동일한 인증서를 활용하여 관리해야 할 인증서 수 감소. VMCA(VMware Certificate Authority)에서 인승서를 발급(CA - 인증기관)
- vCenter Server Appliance 6.5 기능
- 기본 고가용성 : 기존 vCenter Server 인스턴스로 부터 복제되는 액티브, 패시브 및 감시 노드.
- 통합된 vSphere Update Manager : vSphere Update Manager와 vCenter Server Appliance와 통합 -> 데이터베이스 종속성 제거.
- 향상된 어플라이언스 관리 : CPU 및 메모리 통계, 네트워크 및 DB 통계, 디스크 공간 및 상태 표시 ->간단한 모니터링 및 운영은 CLI 사용할 필요x
- 기본 백업/복원 : 간단한 백업 옵션.
- 마이크레이션 툴
- Windows vCenter Server를 vCenter Server Appliance로 마이그레이션
- Windows 대비 이점
- 신속한 프로비저닝 : 프로비저닝 마법사를 통해 쉽게 프로비저닝
- OS/DB 라이센스 없음
- 최소한의 DB 유지 보수
- 통합된 패치 적용
- 단일 지원 지점
- vSphere 관리 인터페이스
- 공유 스토리지
- 다른 호스트의 가상머신 작동을 도와줌
- 다음의 vSphere 기능이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해 공유 스토리지 인프라 필요 ex) DRS, DPM, Storage DRS, 고가용성, 무장애 기능
- 스토리지 프로토콜
- Fibre Channel : 주로 SAN을 통해 스토리지에 연결하는데 사용. 2~16Gbps
- FCoE(Fibre Channel over Ethernet)
- iSCI : 컴퓨터 시스템 또는 호스트 서버 간 이더넷 연결과 고성능 스토리지 시스템 사용.
- NFS
- 로컬 스토리지
- Virtual Volumes
- 데이터 스토어
- 가상머신이 저장되는 논리적 볼륨.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
- VMFS 데이터 스토어 : 가장머신을 저장하는 데 최적화 된 고성능 파일 시스템.
- NFS(Network File System) 데이터 스토어 : NFS 볼륨을 사용하여 VMFS와 같은 방식으로 가상머신 저장 및 부팅. 최대크기 제한x
- vSAN 스토어
- VMware vSAN
- .....
- 하이브리드 또는 전체 플래시 드라이브
- vSphere에 포함x 별도 유료 제품
- Virtual Volumes
- 가상 디스크 수준에서 어레이 기반 작업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 디스크 관리 및 통합 프레임워크
- SAN 및 NAS 스토리지 시스템을 가상머신에서 관리
- 많은 수의 LUN 및 볼륨 관리x -> 오버헤드 감소
- SPBM(Storage Policy Based Management)는 동적 리소스 할당 및 관리하며 Virtual Volumes와 연동.
- vSphere의 네트워킹 기능
- 네트워크 모니터링, 네트워크 리소스 관리, 네트워킹 모범 사례
- 가상머신은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가상 머신이나 물리적 구성요소와 통신
- vSphere는 가상 네트워킹을 위해 NIC(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) 및 가상 스위치 사용
- 가상 네트워킹
- 가상 LAN : VLAN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논리적으로 분리.
- 트래픽 조절 : 가상머신 그룹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규제. 정체 현상 감소
- 포트 미러링 : 문제해결 또는 침입방지를 위해 가상머신의 트래픽 모니터링
- QoS 및 DSCP : 다른 네트워크 트래픽보다 특정 네트워크 트래픽에 우선순위 지정.
- NetFlow : 네트워크에서 가장 활발한 통신을 파악.
- CDP 및 LLDP : 인접한 물리적 네트워크 스위치를 식별. 네트워크 구성 오류 검색.
- 가상 스위치
- 물리적 네트워크에 가상 머신을 연결
- ESXi 호스트에 연결되는 물리적 네트워크 케이블의 수를 줄여 네트워크 복잡성 감소
- MAC 포트포워딩 테이블 유지, 프레임의 대상 MAC 조회하여 프레임을 포트로 전달
- VMware의 가상 스위치 - Standard Switch, Distributed Switch
* 데이터플레인 : 패키지 스위칭, 필터링, 태깅. 관리플레인: 데이터 플레인 기능을 구성하는 제어구조
- Standard Switch : 물리적 이더넷 스위치와 동작 유사. 가상 포트로 트래픽 전달. 물리적 스위치의 고급기능 포함x
- Distributed Switch : 모든 관련 호스트에서 단일 스위치로 작동. 중앙 집중식 가상 네트워크 프로비저닝, 관리 및 모니터링 제공. vCenter Server 시스템에서 구성 -> 마이그레이션해도 네트워크 구성 유지. vCenter Server에 관리 기능이 있고 데이터 플레인은 로컬에 남음(호스트 프록시 스위치). vSphere Enterprise Plus 및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 Enterprise Plus 에디션에만 제공됨.
- NSX 소개
- 논리적 네트워킹 및 보안 서비스를 SDDC에서 구축하는 네트워크 가상화 플랫폼.
-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로부터 독립적
- 논리적 스위칭, 논리적 라우팅, 논리적 방화벽, 논리적 로드 밸런서, 논리적 가상 프라이빗 네트워크
- vSphere의 보안 기능
- 가상머신 암호화 : 확장가능, 쉬운 관리 및 구현. 하이퍼바이저 수준에서 발생. 암호화는 가상 머신 "내에서" 관리되지 않음.
- 암호화된 vMotion : 데이터의 기밀성, 무결성, 신뢰성 보장.
- 보안 부팅 : OS 전달 이전에 신뢰할 수 있는 코드만 펌웨어가 로드하도록 보장.
- 로깅 : 감사 품질 로깅
- vCenter Server 이중 요소 인증
- vSphere의 리소스 관리 기능
- vMotion, DRS, DPM, Storage I/O Control, Storage DRS, Storage vMotion, Network I/O Control
- vMotion
- 실행중인 가상머신을 한 ESXi호스트에서 다른 ESXi호스트로 다운타임 없이 마이그레이션 가능.
- 마이그레이션하면서 호스트만 변경할 때 : 활성메모리, 실행상태가 새 호스트로 전달됨. 가상디스크는 동일 위치에 남음.
- 호스트와 데이터 스토어 변경할 때 : 활성메모리, 상태가 새 호스트로 전달되고 가상디스크는 다른 데이터스토어로 이동.
- 암호화된 vMotion : 데이터의 기밀성, 무결성 및 신뢰성 보장
- DRS (Distributed Resource Schedler)
- 리소스 풀에 따라 가상머신에 가용 리소스를 할당
- 가상머신 재분산
- 하드웨어 활용도를 자동으로 최적화
- 데이터 센터의 운영 효율성 개선
- 다운타운 없이 서버 유지보수
- 전력소비 절감
- 예측 DRS
- 미래 수요를 예측하기위해 DRS, vRealize Operations Manager 조합
- 오버헤드 최소화
- 네트워크 인식 DRS : 네트워크를 고려하여 최종 호스트 결정
- DPM (Distributed Power Management)
- DRS에서 리소스 요구사항을 계속 모니터링
- 워크로드 증가하면 일부 서버 전원을 끔. 그 반대도.
- Storage vMotion
- 가상머신이 실행되는동안 가상머신과 데이터스토어 마이그레이션
- 제로 다운타임, 연속적 서비스 가용성, 완전한 트랜잭션 무결성
- 모든 디스크를 단일 위치에 배치 or 각 가상 디스크에 대해 위치 선택
- Storage DRS
- 가상머신 브로비저닝 및 모니터링. 로드 밸런싱.
- 수동모드 : 승인이 필요한 밸런싱 권장
- 자동모드 : 모든 가상 머신을 최적의 실행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I/O 지연시간을 낮추는 결정을 내림.
- SIOC (Storage I/O control)
- 스토리지 I/O 성능 격리
- 중요 가상머신의 서비스 수준 보호
- SIOC를 올바르게 설정하지 않으면 성능 저하 가능성
- 디바이스-지연 시간 모니터링
- 정체 기간 중 성능을 더욱 정학하게 예측
- NIOC Network I/O Control
-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트래픽 흐름 사이에 네트워크 대역폭을 파티셔닝
- 트래픽 격리, 예측 가능성, 우선순위 지정을 적용하는 QoS 정책 제공
- 특정흐름이 다른 흐름을 방해하여 끊기지 않도록 방지
- vSphere 가용성 기능
- 계획되지 않은 다운타임 발생 방지
- 자동 재시작, 가상머신 배치, 로드 밸런싱, 백업 및 복구, 재해 복구 자동화
- HA, HA 재시작 조정, 사전 예방적 HA, FT(무장애 기능), vSphere Replication
- 고가용성(HA)
- 물리적 서버에 장애 발생 시 다른 서버에서 자동으로 재시작됨. ㅎㅎ^^
-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간격 내에 해당 가상머신으로부터 하트비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장애로 판단
- vSphere HA 재시작 조정
- 복구가능성 향상
- 가상머신간 재시작 규칙 -> 영향을 받는 애플리케이션이 올바르게 복구될 가능성을 높임
- 특정 순서로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성공적으로 복구되지 않는 멀티 Tier 애플리케이션에 유용 ex) DB, App, Web Server
- vCenter Server로 재시작 규칙 생성 및 관리.
- 사전 예방적 HA(High Availability)
- 성능이 저하된 구성요소를 감지하고 서비스가 중단되기 전에 VM을 비움.
- 리스크 상태의 호스트는 차단 모드 또는 보수 모드로 전환됨
- vCenter Server 플러그인에서 시스템 메모리, 로컬 스토리지, 전원 공급 장치 등에 대한 정보 제공
- Fault Tolerance
- 미션 크리티컬한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보호
- 물리적 서버에 장애 발생 시 주 가상 거민과 동기화되는 가상머신의 락스텝(lock-step)을 만들어 지속적 가용성 제공
- 하드웨어 중단 시 자동으로 페일오버를 트리커하여 제로 다운타임과 보장, 데이터 손실 방지
- Fault Tolerance 로깅 : 기본과 보조 가장머신간의 트래픽
- Fault Tolerance 로킹은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 호스트에 전용 10GB NIC 사용 권장
- 전체 가상 머신의 완전한 복제본 생성
- vSphere Replication
- 가상머신을 복제하여 재해 복구 및 데이터 보호
- vSphere Web Clinet를 사용하여 관리
- 복제된 데이터는 압축된 상태로 네트워크로 전송되며 저장됨.
- vSphere Intergrated containers(VIC)
- 컨테이너를 가상머신처럼 간단하게 관리
- Engine, Harbor, Admiral
- 기존 워크로드와 함께 컨테이너형 애플리케이션 실행
- 보안, 가시성 및 관리 기능에 이동성을 통합
- 손쉬운 기존 인프라 활용 및 확장
- Docker 호환 인터페이스를 개발자에게 제공
- VIC 작동 원리
- vSphere 확장, NSX, vSAN 통합
- 엔진 : 개발자가 익숙한 Docker 명령을 사용할 수 있음. 인프라 리소스 쉽게 확장 가능
- Harbor : 프라이빗 레지스토리 제공. 선택적.
- Admiral : 컨테이너 관리 포털. 프로비저닝, 관리, 모니터링 할 수 있는 GUI, API, CLI 인터페이스 제공
- 주요 이점
- 기존 워크로드와 함께 컨테이너형 애플리케이션 실행 : 별도의 컨테이너 인프라 스택 구축 필요x
- 보안, 가시성, 관리기능에 이동성을 통합 : 컨테이너를 가상 머신으로 실행->vSphere의 보안 등 기능 이용 가능
- 손쉬운 기존 인프라 활용 및 확장 : 비효율적 인프라 재구축 방지, 애플리케이션 배포 즉시 확대
- Docker 호환 인터페이스를 개발자에게 제공
- 데이터센터 가상화 제품
-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 (VSOM)
- vRealize Suite :
- vSAN
- NSX
- 하이퍼 컨버지드 제품군 (HCI)
- VMware Integrated OpenStack (VIO)
- 클라우드 서비스
-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(VSOM)
- vRealize Operations Standard + vSphere Enterprise Plus = vSphere with Operations Management Enterprise Plus
- 워크로드 용량 및 상태관리 -> 애플리케이션 가용성 및 성능
- vRealize Operations Standard : 비즈니스를 위해 지능적인 vSphere 운영 관리. 예측, 분석, 스마트 알림, 정책중심 자동화
- vRealize Operations Advanced/Enterprise : 물리적, 가장,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. 예측분석, 스마트알림, 성능 분석
- vCenter Server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, 예측 분석.
- VMware DRS와의 통합으로 워크로드 밸런싱. 문제 예방.
-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쉽게 식별 가능
- 상태 : 인프라, 가상 DC, 호스트 등의 상태 표시. 작업부하량, 장애 표시
- 리스크 : 스트레스, 남은시간, 남은 용량 조합하여 표시. 객체의 최대용량까지 남은 시간, 남은 용량 표시
- 효율성 : 재확보 가능한 낭비요소 및 밀도를 표시.
- 백엔드 스토리지 시스템의 복잡성 가소, 효율적 스토리지 활용, 운영비용 절감,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, 애플리케이션 다운타임 감소
- vRealize Suite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위한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
- VMware vCloud Air 및 Amazon Web Services 등의 외부 업체로 확장
- VMware vRealize Automation : 리소스 관리를 제공하여 비용 관리를 개선
- VMware vRealize Operations : 인프라관리를 간소화 및 자동화하는 지능적 운영 플랫폼.
- VMware vRealize Log Insight : 머신 학습 기반의 지능적 기능을 통해 로그 관리 기능 제공.
- VMware vRealize Business for Cloud : 서비스 비용 이해, 예산 책정, 소비 보고 제공
- vSAN
- VMware SDS(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)
- vSAN의 HCI는 스토리지 및 컴퓨팅이 최소한의 오버헤드로 실행되게 함.
- VMware 스택과 vSphere Web Client에통합되어 관리 간소화.
- NSX
- 물리적 머신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상 머신과 네트워크 구축
- 전체 네트워킹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재현
- 서비스 중단 없이 기존 인프라에 구축 가능
- 유연한 네트워크 용량 풀을 온디멘드 방식으로 할당.
- VMware HCI (Hyper Converged Infrastructure)
- 업계표준 x86서버에 물리적 스토리지 통합
- vSAN 기반 HCI의 구성요소 : vSphere, vSAN, vCenter Server(통합 관리 솔루션)
- VIO (VMware Integrated OpenStack)
- VMware 인프라에서 VIO를 이용하여 OpenStack을 구축
- vSphere Web Client를 사용하여 구축 간소화
- 원활한 업그레이드와 패치
- vSphere Enterprise Plus 고객이 무료로 사용 가능
- NSX를 통해 고도로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 가상화 솔루션
- vSAN을 사용하며 간단하고 복원력이 뛰어난 공유 스토리지
- 용량 추가/제거 등 운영 자동화를 위한 사전 정의 워크플로우
- 클라우드 서비스 vCloud Air
- 컴퓨팅, 스토리지, 네트워킹, 재해복구 등을 제공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
- 기존 워크로드, 타사 애플리케이션, 신규 애플리케이션 등을 모두 지원
- 원활한 네트워킹 계층, 사내 및 외부 워크로드 관리
- VMware Cloud Foundation (VCF)
- VMware의 컴퓨팅, 스토리지, 네트워크 가상화를 설치 및 구성하는 플랫폼. vRealize Suite와 같은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과 결합 가능.
-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퍼블릭 클라우드처럼 단순하게 만들어 운영이 단순화되고, 유연성, 일관된 운영, 보안을 제공함
- 구매 방법 : VMware에서 직접, VMware 채널 파트너, OEM 벤더의 통합 시스템의 일부, 서브시 공급업체의 서브스크립션 서비스
- SDDC Manager의 수명주기 관리 자동화 기능, 핵심 인프라 가상화, vSphere, vSAN, NSX 등이 통합되어있는 SDDC 스택을 제공
- 필요시 VMware vRealize 및 VMware Horizon을 구축
- VMware SDDC Manager는 전체 SDDC 스택의 가동, 배포, 구성, 프로비저닝, 수면주기 관리를 자동화.
- 서버, 스토리지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까지 포함하는 최초의 HCI 클라우드 제품
-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을 쉽고 빠르게 함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실현
- 어디서나 모든 애플리케이션 실행
- 뛰어난 TCO(총 소유 비용)
- VMware Cloud on Amazon Web Services (AWS)
- vSphere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
- VMware의 Enterprise급 SDDC 소프트웨어를 AWS 클라우드로 제공
- 고객은 모든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가능
- 온디맨드 서비스로 제공됨
3.3 데이터 센터 과제 관련 vSphere 솔루션
- 데이터 센터 과제
- 가용성 : FT, HA, 사전 예방적 HA
- 확장성 : vMotion을 통한 마이그레이션, 클러스터당 64개 호스트 지원
- 최적화 : vRealize Operations로 인프라 최적화, 리스크 치ㅗ소화. 자동화
- 관리 : 중앙 집중식 관리, 주기적 동기화로 최신버전유지.
- 애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: 기존 및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모두 지원(vSphere Integrated Containers)
- 클라우드 : VMware Cross Cloud Architecture. 모든 클라우드의 어떠한 애플리케이션도 실행 가능. 공통 운영 환경.
- 에디션
c스토리지 프로토콜 잘 모르겠다 넘어려움
'공부 > V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TSP-DV (2016) (0) | 2017.08.17 |
---|---|
VSP - DV (Desktop Virtualization 2016) (0) | 2017.08.11 |
용어정리 (0) | 2017.08.07 |
VSP 2016 (0) | 2017.08.02 |
VSP - Server Virtalization 2017 (0) | 2017.08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