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UI Overview
1. 1 부모
월드 아웃라이너에서 하나의 엑터를 다른 액터의 부모로 만들 수 있음.
부모로 만들면 부모를 움직이면 자식도 같이 움직임
자식을 움직이면 자식만 움직임
1.2 컴포넌트 추가
액터를 선택하고 우측의 디테일 패널에서 컴포넌트를 추가할 수 있음
2. Viewport Navigation
마우스 좌,우. 휠 클릭(=양쪽클릭)
카메라 속도 디폴트4
우클릭 누른채로 wasd qe 로 움직일 수 있음, c줌인 z 줌아웃(우클릭 놓으면 풀림)
우클릭 누른채로 휠 올리면 속도 빨라짐 내리면 느려짐
*우클릭이 아니라 좌클릭으로 눌러도 되지만 카메라 회전을 위해 우클릭 누르는게 편함
액터를 클릭하고 f키를 누르면 카메라가 엑터를 바라봄
이상태에서 alt 키 누르고 마우스 좌/우클릭으로 움직이면 엑터중심으로 카메라 움직일 수 있음
3. Orthographic Views
오쏘그래픽뷰 : 뷰포트 우측상단 최소화버튼
레벨의 3차원을 분리해서 볼 수 있음(x 축 기준, y 축 기준, z 축 기준)
오쏘그래픽뷰에서 좌클릭 + 드래그로 여러 액터를 선택할 수 있음
오쏘그래픽뷰에서 와이어프레임을 선택하면 와이어프레임, 라이팅제외, 라이팅 포함 등의 뷰모드를 바꿀 수 있음
4. View Mode & Show Flags
4.1 뷰모드
뷰모드의 디폴트는 '라이팅포함'이다. 레벨이 가장 잘 렌더링됨(레벨의 이펙트, 메테리얼 등이 모두 적용됨)
좌측 상단의 '라이팅포함'을 클릭하여 뷰모드를 바꿀 수 있다. 각 단축키를 눌러 바꿀 수도 있다 (Alt 2~6)
리플렉션 뷰 모드는 레벨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고, 반사에 의해 생기는 문제를 진단할 수 있다.
노출 :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 또는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나왔을 때 밝거나 어둡게 보이는 효과. 디폴트로 켜져있다.
4.2 표시
뷰모드 옆의 '표시'를 누르면 각종 효과와 옵션을 켜고 끌 수 있다. 지평선, 그리드, 라이팅 효과 등
5. Placing Objects in your Level
메뉴모음-파일-새 레벨 추가에서 빈 레벨을 추가한다.
배치모드에서 뷰포트로 드래그앤드랍으로 오브젝트를 배치한다.
하단의 콘텐츠뷰의 오브젝트도 드래그앤드랍으로 배치할 수 있다.
또는 메뉴모음-창-개발자툴-클래스뷰어를 클릭하면 뜨는 창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객체들을 드래그앤드랍으로 배치할 수 있다.
6. Moving Objects
기즈모가 보이지 않으면 w키를 눌러서 보이게 할 수 있다.
각 축 사이의 각진 부분을 드래그 하면 두 축을 통틀어 움직일 수 있다(ex. zy평면에서 움직임).
하얀 구체를 드래그하면 카메라 기준 xyz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.
(빨강 x, 파랑 z, 녹색 y)
오브젝트 클릭하고 end키 누르면 바닥에 붙는다.
e키를 누르면 회전모드로 들어간다.
월드/로컬 좌표계를 바꿀 때는 뷰포트의 우측 상단 아이콘들 중 지구본 클릭( Ctrl + ` )
로컬 좌표계에서는 회전된 오브젝트에서 오브젝트 기준의 xyz축으로 옮길 수 있다.
디테일 패널에서 오브젝트를 옮길 수도 있다.
*언리얼엔진의 단위는 cm로 10은 10cm
기본 10단위로 물체를 옮길 수 있지만 뷰포트 상단의 위치 그리드 스냅값 설정을 클릭하여 단위를 바꿀 수 있다.(각도도 마찬가지)
그리듣 스내핑 옵션을 끄면 단위에 상관없이 모든 위치로 옮길 수 있다.
7. Rotating Objects
e키를 누르면 회전 모드로 변경된다.
블루프린트에서는 x,y,z, 가 아니라 Yaw(Z), Pitch,(Y) Roll(X)로 나누어짐
8. Scaling Objects
R을 누르면 스케일 모드로 변경된다.
기즈모를 드래그, moving과 마찬가지로 기즈모 사이를 드래그 할 수도 있음
스케일링은 로컬에서만 가능
9. Moving with the Camera
카메라와 오브젝트를 동시에 이동
Shift를 누른 채로 오브젝트를 움직이면 카메라와 함께 움직임
액터 우클릭 후 pilot 액터 클릭하면 액터 시점에서 움직일 수 있음
10. Content Browser
콘텐츠 브라우저가 없으면 상단의 메인 툴바에서 콘텐츠 버튼 클릭 ( Ctrl + Shift + F )
임포트 버튼을 눌러서 로컬 PC의 에셋을 포함할 수 있다.
자동방식 :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에셋을 저장하면 자동으로 언니얼엔진에서 임포트함
콘텐츠 브라우저 내부에서 에셋을 더블클릭하면 에셋을 편집할 수 있는 서브 에딧터가 실행된다.
콘텐츠 브라우저에서 신규추가 버튼을 눌러 새로운 에셋을 만들거나 콘텐츠팩을 추가할 수 있다.
에셋 썸네일 좌측 하단의 별표 모양은 에셋이 저장되지 않았다는 뜻
한번에 네개의 콘텐츠 브라우저를 띄울 수 있음
하단의 뷰 옵션으로 썸네일, 열, 목록 보기 등으로 보는 방식을 변경하거나, 썸네일을 수정할 수 있다.
썸네일 실시간 반영을 한다면 물이 흐르는 것 등을 썸네일로 볼 수 있다.
11. Customizing the Editor UI
/\탭 아래에 있는 직각형 탭들끼리 옮기거나 붙일 수 있음. 직각형 탭은 /\탭 아래에 종속됨. /\탭 끼리는 붙일 수 있음
'공부 > 게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언리얼 엔진4 튜토리얼 - Blueprint Quickshot (0) | 2017.11.24 |
---|---|
언리얼 엔진4 튜토리얼 - Intro to Blueprints (0) | 2017.11.21 |
언리얼엔진4 튜토리얼 - BP 3d Person Game (0) | 2017.11.13 |
언리얼 엔진4 튜토리얼 - Intro to Level Creation (0) | 2017.11.10 |
언리얼엔진 (0) | 2017.11.03 |